본문 바로가기
일상

IRP&연금저축 필수! 확정 수익부터 투자 전략까지 한 번에 정리😊

by 세도프 이선생 2025. 1. 23.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세도프입니다! 😊

오늘은 제가 제 주변에 적극 추천하는 IRP(개인형 퇴직연금)와 연금저축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고 해요.

많은 분들이 "이건 뺄 수 없는 돈이라 불편하다"며 꺼려하시지만, 저는 오히려 이 두 가지를 먼저 해야 하는 이유가 있다고 생각해요!!

.

IRP와 연금저축을 해야 하는 이유

가장 큰 이유는 확정 수익이 있다는 점이에요!

여기서 말하는 확정 수익은 세액공제 혜택인데요, 이걸 놓치면 정말 아깝답니다.

한 번 같이 계산해 볼게요! 🧮

연봉별 세액공제 혜택

1️⃣ 연봉 5,500만 원 이하일 경우

  • 소득세에서 15% + 지방세 1.5% = 총 16.5% 혜택!
  • 최대 공제 한도로 계산하면, 148만 8천 원이나 돌려받을 수 있어요.

 

2️⃣ 연봉 5,500만 원 초과 ~ 1억 2천만 원 이하일 경우

  • 소득세에서 12% + 지방세 1.2% = 총 13.2% 혜택!
  • 조금 낮아지긴 하지만 여전히 매력적인 혜택이에요.

💡 주의: 해지를 하면 세액공제 받은 금액을 더 높은 세율로 다시 토해내야 해요.

즉, 13.2% 혜택을 받았다가 연금시작이 아닌 중도해지하면 세액공제 받은 납입금과 운용수익에 대해 16.5%의 기타소득세가 부과되어 오히려 세금을 더 내야하니 정말 큰일 아니고서는 해지 금지! 🚫

 

중도 해지하면 손해아냐? 안할래 라고 생각하시는 분들 조금 만 더 읽어주세요!

 

세도프는 IRP VS 연금저축, 어떻게 활용할까?

저는 IRP와 연금저축을 각각 이렇게 나눠서 활용하고 있어요 :)

IRP (300만 원)

  • 특징: 개인형 퇴직연금이라서 대출 담보로 활용 불가!
  • 장점: 안전하게 노후 자금을 모으기 좋아요!

연금저축 (600만 원)

  • 특징: 세액공제 최대 한도가 600만 원이기 때문에 이 금액을 추천해요.
  • 장점: 해지하지 않아도 담보 대출 가능! 급전이 필요할 때 유용하답니다.

 

단순한 예금이 아닌 투자로 확장하기

저는 IRP와 연금저축에 돈만 넣는 게 아니라, 이를 활용해 투자도 하고 있어요. 📈

  • 저는 현재 미국 80%, 한국 20% 비중으로 투자 중이에요.
  • 현재(2025년 1월 기준) 한국 시장이 더 유망하다고 판단해서 한국 시장에 투자를 조금 늘리고 있어요! 미국 70%에 한국 30%정도...?
  • 아무리 한국시장이 매력적인 가격이 왔다고는 하지만 코리아디스카운트...진짜 무섭더라구요..주린이지만 진짜 한국 주식시장은 주주환원과 대우에 대한 부분이 한숨만 나옵니다...
  • 하지만 언제든 과하다는 생각이 들면, 리밸런싱할 계획도 가지고 있어요.
  • 이렇게 미래 성장성을 기대하며 꾸준히 투자하고 있어요.
반응형
728x90

결론: 확정 수익은 무조건 챙기자!

저는 저의 투자 실력이 미천하다고 생각해서 특정종목에 대해 몰빵하는 투자는 하지 않아요...

오히려 확정 수익이 있는 곳에 먼저 투자한 뒤, 여유 자금으로 주식 투자를 합니다.(IRP와 연금저축에 900만원을 넣으니 주식투자금이 늘지 못한지 오래되었어요...)

✅ 매년 900만원에 대한 금액에 대해 10% 이상의 확정수익을 얻을 수 있어요.

IRP와 연금저축을 10년간 유지하면 세액공제로만 1,000만 원 이상의 확정 수익을 얻을 수 있어요.

✅ 미국은 401(k)로 강제로 진행되지만, 한국은 강제가 아니에요.

그래서 오히려 저는 제 스스로 강제 시스템을 만들어 노후 자금을 확실히 준비하고 있답니다. 💪

 

주변을 살펴보시면 IRP와 연금저축에 대해 알고는 있어도 하지 않고 계신분들이 많을거라고 생각해요!

그럼 역으로 부자가 되기 위해선 많은 사람들이 안하는걸 해야한다고 역발상으로 생각하면서 저는 편안한 노후를 위해 미래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광고 한 번 눌렀다가 꺼주시면 세도프 운영에 큰 도움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다음에 또 만나요~!

 

이 글은 투자를 권유하거나, 종목을 추천하는 글이 아닙니다. 제가 실제 하고 있는 내용을 바탕으로 적은 글입니다. 현행법으로 변경되는 부분이라 25년 1월에 진행한 24년도 연말정산에서 통과된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했습니다. 모든 투자의 결과는 본인의 선택에 따른 것이므로, 본인에게 귀속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