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소득공제7

IRP&연금저축 필수! 확정 수익부터 투자 전략까지 한 번에 정리😊 안녕하세요, 세도프입니다! 😊오늘은 제가 제 주변에 적극 추천하는 IRP(개인형 퇴직연금)와 연금저축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고 해요.많은 분들이 "이건 뺄 수 없는 돈이라 불편하다"며 꺼려하시지만, 저는 오히려 이 두 가지를 먼저 해야 하는 이유가 있다고 생각해요!!.IRP와 연금저축을 해야 하는 이유가장 큰 이유는 확정 수익이 있다는 점이에요!여기서 말하는 확정 수익은 세액공제 혜택인데요, 이걸 놓치면 정말 아깝답니다.한 번 같이 계산해 볼게요! 🧮연봉별 세액공제 혜택1️⃣ 연봉 5,500만 원 이하일 경우소득세에서 15% + 지방세 1.5% = 총 16.5% 혜택!최대 공제 한도로 계산하면, 148만 8천 원이나 돌려받을 수 있어요. 2️⃣ 연봉 5,500만 원 초과 ~ 1억 2천만 원 이하일 경우.. 2025. 1. 23.
💳 [연말정산 꿀팁] 카드로 소득공제 받는 법, 이거 몰랐다면 손해! 안녕하세요! 세도프입니다!😄연말정산 시즌이 돌아왔습니다! 오늘은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는 카드 소득공제를 가장 쉽게 설명드릴게요. 이 글만 읽으면 "내 카드 사용이 소득공제가 되는구나!"를 바로 이해하실 수 있을 거예요.​카드 소득공제, 왜 중요한가요?소득공제란 한마디로, "내가 세금을 내야 할 기준 금액 자체를 줄여주는 것!"이에요.카드를 사용하면 이 금액을 줄여주는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무 카드 사용이나 되는 건 아니에요. 몇 가지 기준이 있답니다.​소득공제를 받으려면 꼭 알아야 할 숫자: 25%여기서 중요한 건, 총 급여의 25%입니다.쉽게 말하면, 내 연봉 중 25%를 넘긴 사용 금액부터 소득공제가 가능하다는 뜻이에요.예시로 알아볼게요!내 연봉이 3,000만 원이라면,3,000만.. 2025. 1. 14.
🎯매년 헷갈리는 연말정산!! 쉽게 알아보는 핵심 팁 안녕하세요, 세도프입니다.어김없이 돌아온 2024 연말정산 시즌! 🎉연말정산 하면 머리가 아프다는 분들 많으시죠? 그래서 오늘은 제가 아는 선에서 최대한 쉽고 재미있게 핵심 내용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연말정산은 우리의 연례행사! 🎁"1월은 왜 이렇게 지갑이 가벼울까요?"바로 연말정산 때문입니다. 환급을 받느냐, 세금을 더 내야 하느냐에 따라 새로운 해를 시작하는 기분이 확 달라지죠. 😅 연말정산의 기본 개념을 살펴보면 크게 2가지 입니다.소득공제: 세금을 계산하기 전에 과세표준(세금의 기준)을 줄이는 제도세액공제: 이미 계산된 세금에서 일정 금액을 빼주는 제도 소득공제 VS 세액공제: 누가 더 중요할까? 🥊소득공제와 세액공제는 마치 한 팀 같은 두 선수지만, 역할은 조금 다릅니다.소득공제는 공격.. 2024. 12. 27.
연말정산 돈 돌려받기 프로젝트 #5 <카드공제편> 매년 연말정산을 할 때마다 많은 질문을 받는다. "이선생은 얼마 토해내?" 사실 이 글을 쓰는 순간까지 연말정산을 토해내 본 적은 한 번도 없다. 어떻게든 토해내지않게 계산해서 틀어막았다. 이 글을 읽는 독자께서도 좋은 정보를 얻어가셨으면 좋겠다. 연말정산을 도와드리다보면 극단적인 카드 사용을 하는 분들을 볼 수 있었다. 다음과 같은 극단적인 예를 들어보겠다. 1. 신용카드만 쓴다. 2. 신용카드가 뭐예요? 직불카드(체크카드)만 쓴다. 3. 현금영수증만 한다. 독자께서 뜨끔할 수도 있지만 결코 독자분이 틀렸다고 한 게 아니니 오해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연말정산의 소득공제 수식을 확인해 보면 즉, 자신의 총급여의 25%를 넘기는 지출 금액부터 공제 대상이 된다. 예를 들어 자신의 급여가 3000만 원이라고.. 2023. 1. 19.
연말정산 돈 돌려받기 프로젝트 #4 <청약(청년우대형)편> 이 부분은 나이가 만 19 ~34세이면서 소득이 3,600만원 이하이면서 무주택인 세대주만 가능한 부분이오니 글을 읽기전에 꼭 해당사항이 되는지 체크하시기 바랍니다~! 연말정산 돈 돌려받기 프로젝트 #3 에서 다뤘던 청약저축과 같은 개념으로 어린 나이와 소득이 적은 청년들을 대상으로 금리에 유리한 부분을 적용한 저축이다. 필자는 신한은행과 아무런 연관이 없으며 은행 홍보가 아닙니다. 필자가 사회초년시절 연말정산을 잘 모를때 지식이 없어 만들지 못한 계좌이다... 사회초년생들이 이 글을 읽고 소득이 아직 3,600만이 안될때 만들어두면 필자처럼 씁쓸한 경험은 안해도 될거라고 생각되어 쓰게되었다. 소득공제를 최대한으로 하기 위해 ①번과 ②번을 섞어 연 300만원까지만 저축하면 되겠지? 라고 생각하지만 청약 .. 2023. 1. 17.
연말정산 돈 돌려받기 프로젝트 #3 <주택마련저축 편> 이번에 다뤄볼 부분은 주택마련저축 입니다. 2022년도 연말정산 개요에서 소득공제의 일부분을 보시면 아래와 같은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어려워 보여서 쉽게 설명하자면 ①번이 우리가 알고있고 흔히 가입되어있는 주택청약저축 통장을 말하며 해당 통장을 통해 이뤄지는 소득공제는 최대 240만원까지 이다. 여기에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2가지 중 선택을 해야한다. 국민주택 청약시 한 회차당 납입금액은 최대 10만원까지만 인정되니 매월 10만원씩 총 120만원만 입금하느냐 VS 연말정산의 소득공제를 위한 추가적인 120만원 입금을 입금해서 240만원을 입금하느냐 청약의 경우 아래와 같은 회차별 납입금액의 한도가 존재한다. 필자는 연말정산의 소득공제와 주택청약의 인정금액인 10만원을 채워내기 위해 매달 20만원씩 자.. 2023. 1. 17.
연말정산 돈 돌려받기 프로젝트 #1 <IRP, 개인연금저축 편> 내가 다니는 직장은 매년 1월 중순에 연말정산을 시작한다. 사회 초년생때는 뭣도 모르고 소득공제 받으려면 신용카드를 얼만큼 써야 받을 수 있으니 많이 긁어야한다는 주변 사람들의 말을 듣고 열심히 썼었는데... 경제적자유와 멀어지는 특급 열차에 타게 되는걸 30살이 넘어서라도 깨닫게 되어서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연말정산은 말 그대로 그 해에 내가 내야할 세금과 낸 세금을 정산해서 더 많이 내면 돌려주고 아니면 가져가는 시스템이다. 내 수준에서 하고 있는 연말정산에서 돈을 한 푼이라도 안 토해내고 오히려 보너스 느낌이 나도록 하는 방법들을 소개하고자한다. 1. IRP(개인퇴직연금) 회사에서 들어주는 퇴직연금과는 별개로 개인이 은행 or 증권사에서 쉽게 만들 수 있는 계좌의 종류 중 하나이다. 여기에다가 매년.. 2023. 1. 17.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