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SMALL 분류 전체보기66 연말정산 돈 돌려받기 프로젝트 #3 <주택마련저축 편> 이번에 다뤄볼 부분은 주택마련저축 입니다. 2022년도 연말정산 개요에서 소득공제의 일부분을 보시면 아래와 같은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어려워 보여서 쉽게 설명하자면 ①번이 우리가 알고있고 흔히 가입되어있는 주택청약저축 통장을 말하며 해당 통장을 통해 이뤄지는 소득공제는 최대 240만원까지 이다. 여기에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2가지 중 선택을 해야한다. 국민주택 청약시 한 회차당 납입금액은 최대 10만원까지만 인정되니 매월 10만원씩 총 120만원만 입금하느냐 VS 연말정산의 소득공제를 위한 추가적인 120만원 입금을 입금해서 240만원을 입금하느냐 청약의 경우 아래와 같은 회차별 납입금액의 한도가 존재한다. 필자는 연말정산의 소득공제와 주택청약의 인정금액인 10만원을 채워내기 위해 매달 20만원씩 자.. 2023. 1. 17. 연말정산 돈 돌려받기 프로젝트 #2 <세액 공제 편> 작년에 다뤘던 IRP와 개인연금저축이 23년부터 변경된 내용을 설명하고자 한다. 23년 부터 연금저축 공제 한도가 400만 원에서 600만 원으로 늘어나고, IRP를 합산한 공제금액은 900만 원으로 늘어나서 최대 148만 5000원의 세액공제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출처 : 한국경제 ※ 해당 포스팅 내용은 23년부터이니 지금 하시는 2022년 귀속 연말정산에는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24년 1월에 하실 연말정산을 위해 공부하신다는 마음으로 월 58만 3천원 저축하던걸 추가적인 세액공제를 위해 75만원으로 늘릴 의향이 있는지 고민해보는 글입니다. 위의 말자체만 놓고 보면 정말? 하고 무지성으로 IRP 계좌를 만들어 900만원을 넣고 연말정산 혜택을 받으려고 하신다면 큰 손실을 보실 수 있으니 제 글은 참고용.. 2023. 1. 17. 연말정산 돈 돌려받기 프로젝트 #1 <IRP, 개인연금저축 편> 내가 다니는 직장은 매년 1월 중순에 연말정산을 시작한다. 사회 초년생때는 뭣도 모르고 소득공제 받으려면 신용카드를 얼만큼 써야 받을 수 있으니 많이 긁어야한다는 주변 사람들의 말을 듣고 열심히 썼었는데... 경제적자유와 멀어지는 특급 열차에 타게 되는걸 30살이 넘어서라도 깨닫게 되어서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연말정산은 말 그대로 그 해에 내가 내야할 세금과 낸 세금을 정산해서 더 많이 내면 돌려주고 아니면 가져가는 시스템이다. 내 수준에서 하고 있는 연말정산에서 돈을 한 푼이라도 안 토해내고 오히려 보너스 느낌이 나도록 하는 방법들을 소개하고자한다. 1. IRP(개인퇴직연금) 회사에서 들어주는 퇴직연금과는 별개로 개인이 은행 or 증권사에서 쉽게 만들 수 있는 계좌의 종류 중 하나이다. 여기에다가 매년.. 2023. 1. 17. 이전 1 ··· 5 6 7 8 다음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