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세도프입니다!😄
연말정산 시즌이 돌아왔습니다!
오늘은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는 카드 소득공제를 가장 쉽게 설명드릴게요. 이 글만 읽으면 "내 카드 사용이 소득공제가 되는구나!"를 바로 이해하실 수 있을 거예요.
카드 소득공제, 왜 중요한가요?
소득공제란 한마디로, "내가 세금을 내야 할 기준 금액 자체를 줄여주는 것!"이에요.
카드를 사용하면 이 금액을 줄여주는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무 카드 사용이나 되는 건 아니에요. 몇 가지 기준이 있답니다.
소득공제를 받으려면 꼭 알아야 할 숫자: 25%
여기서 중요한 건, 총 급여의 25%입니다.
쉽게 말하면, 내 연봉 중 25%를 넘긴 사용 금액부터 소득공제가 가능하다는 뜻이에요.
예시로 알아볼게요!
- 내 연봉이 3,000만 원이라면,
- 3,000만 원 × 25% = 750만 원
- 내가 카드로 750만 원 이상을 써야 공제를 받을 수 있어요.
- 만약 내가 연봉의 25%인 750만 원을 넘기지 못했다면?
- 카드 공제 대상자가 아니여서 공제를 받을 수 없어요. 😢
어떤 카드 사용이 소득공제가 될까요?
카드 공제는 카드 종류에 따라 공제율이 달라요.
- 신용카드: 사용 금액의 15% 공제
- 체크카드(직불,선불카드), 현금영수증: 사용 금액의 30% 공제
💡여기서 꿀팁!
최저사용금액(총 급여의 25%금액)까지는 신용카드를 그 뒤론
공제율이 높은 체크카드, 현금영수증을 먼저 사용하는 게 유리해요!
특별히 더 많은 공제를 받을 수 있는 항목
카드를 사용했을 때 특별히 더 많은 공제를 받을 수 있는 경우도 있어요.
이 항목들은 일반 카드 공제보다 공제율이 높아요!
1️⃣ 전통시장 사용: 40% 공제
2️⃣ 대중교통 이용: 40% 공제
3️⃣ 도서·공연비, 박물관·미술관 사용: 30% 공제
예를 들어볼게요!
- 전통시장에서 10만 원을 사용했다면?
- 10만 원 × 40% = 4만 원 공제
- 지하철이나 버스를 10만 원 사용했다면?
- 10만 원 × 40% = 4만 원 공제
소득공제 한도도 있어요!
소득공제는 내가 사용한 금액을 무한정 받을 수 있는 게 아니에요. 급여에 따라 한도가 정해져 있답니다.
한도는 이렇게 정해져요:
1️⃣ 연봉이 7,000만 원 이하: 최대 300만 원 공제 가능
2️⃣ 연봉이 7,000만 원~1억 2,000만 원: 최대 250만 원 공제 가능
💡 추가 꿀팁!
도서, 공연비 공제 항목은 한도 외 추가로 100만 원 더 공제 가능해요!
카드 사용 전략: 저는 이렇게 하고 있어요!
1️⃣ 먼저, 총 급여의 25%를 넘겨야 공제가 시작됩니다.
2️⃣ 신용카드로 결제할 금액을 25%로 사용하고, 넘기고 나면, 공제율이 높은 항목부터 사용하세요!
- 전통시장, 대중교통(40%) → 체크카드/현금영수증(30%) → 신용카드(15%) 순으로!
3️⃣ 공제율이 높은 항목은 신용카드로 사용해도 공제율이 더 높으니 걱정 마세요!
- 예: 전통시장·대중교통은 신용카드로 긁어도 40% 공제!
"나는 소득공제를 꼭 받아야 할까?"
소득공제는 카드 사용으로 세금을 줄이는 좋은 방법이에요.
하지만, 과소비를 하면서까지 공제를 받을 필요는 없답니다.
이렇게 생각해 보세요!
- "내가 꼭 써야 할 소비가 있다면, 공제율이 높은 카드로 사용하자!"
- "하지만, 공제를 받으려고 필요 없는 소비를 하지 말자!"
결론: 카드 소득공제, 어렵지 않아요!
- 나의 소비가 총 급여의 25% 넘겨야 소득공제대상자가 된다.
- 공제를 받으려고 필요없는 과소비를 하지말자!
- 공제율이 높은 카드부터 전략적으로 사용하자!(공제 한도를 꼭 기억하자!)
- 특별 공제 항목(전통시장, 대중교통 등)은 더 높은 공제율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이제 연말정산 카드 공제가 훨씬 쉬워 보이지 않나요? 😊
내년에는 소득공제를 똑똑하게 활용해서 세금을 줄이고, 기분 좋게 환급받으세요! 🎉
다음에 또 만나요~
'투자 > 연말정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년 헷갈리는 연말정산!! 쉽게 알아보는 핵심 팁 (4) | 2024.12.27 |
---|---|
연말정산 돈 돌려받기 프로젝트 #4 <청약(청년우대형)편> (4) | 2023.01.17 |
연말정산 돈 돌려받기 프로젝트 #3 <주택마련저축 편> (0) | 2023.01.17 |
연말정산 돈 돌려받기 프로젝트 #2 <세액 공제 편> (2) | 2023.01.17 |
연말정산 돈 돌려받기 프로젝트 #1 <IRP, 개인연금저축 편> (0) | 2023.01.17 |
댓글